Attale Pro & Attale

개요 Overview
라이프플래닝연구소(*이하 라플랩)에서 UX/컨텐츠 디자이너로 일하며, 프로덕트를 성장시키는데 기여했습니다. 라플랩에는 B2B와 B2C 대상의 프로덕트, 어테일 프로(Attale Pro)와 어테일(Attale)이 있으며 이중 저는 어테일 파트에서 가장 많은 리소스를 투여했습니다.
어테일과 어테일 프로는 모두 생산성 어플리케이션으로 생애설계협회라는 사회학/복지 이론을 베이스로 만들어졌으며, 유저가 재무와 직업 영역은 물론 관계 등 인생의 총 8가지 영역에서 스스로의 비전대로 균형있게 삶을 플래닝한다는 공통의 모토를 갖는 제품들입니다. 일반적인 스케줄링 앱이나 식단 등의 일상 관리앱에 비해서, 전나이대에 걸친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유저의 라이프플래닝 이슈들에 접근한다는 특성이 있었습니다.
어테일의 경우는 특히, 제품의 아하포인트부터 타겟팅, 페인포인트 설정부터 유저테스트 등 까지, 전반적인 기획 개편이 프로덕트 개발 초기 시점보다 훨씬 더 사용자 친화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미션이 있었으며, 이 미션 수행에 있어 저는 디자인은 물론 기획 부분과 전반적인 프로젝트 매니징에 있어서도 팀원들과 함께 공통의 기여를 했습니다. 하단의 작업들은 그 결과물들입니다.
<제작 정보>
360*800px (Android Large)
Figma, Adobe Illustration, Maze
1. Attale Pro


-컨텐츠 디자인-
온보딩 화면 및 홈 화면에 삽입되는 배너 8종을 디자인하고,
금융감독원 대상의 영업 프리젠테이션 자리에서 쓰이는 홍보 동영상을 제작했습니다.


-사용성 개선-
지출/자산/소득 분류의 선택 방식을 기존의 텍스트 리스트형식에서 보다 직관적인 아이콘 형식으로 바꾸는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다운링크 https://vo.la/ql5frq
지출/자산/소득 분류의 선택 방식을 기존의 텍스트 리스트형식에서 보다 직관적인 아이콘 형식으로 바꾸는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다운링크 https://vo.la/ql5frq
2. Attale Finance
-사용성 개선-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자산을 연동시킬 시,
기존 구버전 어플에서는 5뎁스 이상으로 지나치게 뎁스가 동굴처럼 깊어져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3뎁스 안에서 유저가 어플 안에서 길을 잃어버리지 않고 자신의
자산 연동설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다이얼로그창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다운링크 https://vo.la/zyAgOT
사용자가 자신이 설정한 목표에 자산을 연동시킬 시,
기존 구버전 어플에서는 5뎁스 이상으로 지나치게 뎁스가 동굴처럼 깊어져 들어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3뎁스 안에서 유저가 어플 안에서 길을 잃어버리지 않고 자신의
자산 연동설정을 완료할 수 있도록 다이얼로그창을 생성하는 방향으로 디자인을 진행했습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다운링크 https://vo.la/zyAgOT
3. Attale 2.0
-기획 공통 기여-
1) 페인포인트, 솔루션, BM(Business Model) (기여도 3-40%)
2) 인앱 / 바이럴 컨텐츠 기획 (기여도: 100%)
서비스 기획자 한 분, 마케터 한 분과 어테일의 개편이라는 미션을 공동 수행하는 팀을 꾸려
1달정도는 기획에 집중해서 위의 1)과 2)의 기초토대를 설계했습니다.
*페인포인트 기획문서 링크
https://whimsical.com/2-0-MXiJHzHFoqc9UKGfojt7gU
-디자인-
1) UI 디자인 (기여도 40%)
2) 컨텐츠 디자인 (기여도 100%)
1) 페인포인트, 솔루션, BM(Business Model) (기여도 3-40%)
2) 인앱 / 바이럴 컨텐츠 기획 (기여도: 100%)
서비스 기획자 한 분, 마케터 한 분과 어테일의 개편이라는 미션을 공동 수행하는 팀을 꾸려
1달정도는 기획에 집중해서 위의 1)과 2)의 기초토대를 설계했습니다.
*페인포인트 기획문서 링크
https://whimsical.com/2-0-MXiJHzHFoqc9UKGfojt7gU
-디자인-
1) UI 디자인 (기여도 40%)
2) 컨텐츠 디자인 (기여도 100%)




유저테스트와 실제 프로덕트 출시에 있어 최종적으로는,
제가 기획단계에서 냈던 아이디어중 ‘목표 키트’라는 형태가 개발단계까지 반영되어 구현되었습니다.
목표 키트의 기본 아이디어는 학교에 처음 입학하거나, 회사 조직에 처음 들어오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인생의 ‘웰컴 키트’를 제공해주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발상에서 출발했습니다.
실제로 근래의 많은 대학 학과나 동아리, HR 부서에서 쥬니어들이 공동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무형적인 온보딩 교육과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키트 형태의 선물을 주기도 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떤 것부터 미리 생각해두어야 하는지 처음부터 알기 어려운 것을
단계별로 ‘태스크’라는 형태의 투두리스트 형식의 셋(set)을 짜서 점선을 그리듯이 경로를 미리 보여주면 ‘라이프 플래닝’이라는 큰 미션을
버겁지 않게 자신이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은 것 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저를 포함한 기획팀의 가설이었습니다.
이 가설은 이후 MVP 설문조사와 유저테스트를 거치면서 목표 키트라는 아이디어에 대한 좋은 유저들의 반응을 이끌어내며
앞으로도 꾸준히 정교화해서 발전시켜볼만한 것이라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제가 기획단계에서 냈던 아이디어중 ‘목표 키트’라는 형태가 개발단계까지 반영되어 구현되었습니다.
목표 키트의 기본 아이디어는 학교에 처음 입학하거나, 회사 조직에 처음 들어오는 사회초년생들을 대상으로
인생의 ‘웰컴 키트’를 제공해주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발상에서 출발했습니다.
실제로 근래의 많은 대학 학과나 동아리, HR 부서에서 쥬니어들이 공동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무형적인 온보딩 교육과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키트 형태의 선물을 주기도 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어떤 것부터 미리 생각해두어야 하는지 처음부터 알기 어려운 것을
단계별로 ‘태스크’라는 형태의 투두리스트 형식의 셋(set)을 짜서 점선을 그리듯이 경로를 미리 보여주면 ‘라이프 플래닝’이라는 큰 미션을
버겁지 않게 자신이 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은 것 부터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 저를 포함한 기획팀의 가설이었습니다.
이 가설은 이후 MVP 설문조사와 유저테스트를 거치면서 목표 키트라는 아이디어에 대한 좋은 유저들의 반응을 이끌어내며
앞으로도 꾸준히 정교화해서 발전시켜볼만한 것이라는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